Hackerschool FTZ의 Level 20 풀이입니다. 배열의 길이는 80인데 fgets 함수로 입력받는 길이는 79네요. 그렇다면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을 할 수 없습니다. 그런데 printf 함수에서 %s 를 사용하지 않고 문자열을 출력했습니다. 그래서 FSB, 즉 포맷 스트링 버그를 이용해서 풀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포맷 스트링 중에 %n이 있는데 %n은 쓰인 총 바이트 수를 지정할 정수형 포인터를 출력할 때 쓰는 것입니다. 그리고 이번에는 버퍼 주소 대신 함수가 끝나고 실행하는 소멸자 .dtors를 이용할 것입니다. 먼저 .dtors의 주소를 알아보겠습니다. .dtros가 끝날 때 호출하는 명령을 저장한 주소는 0x0849598입니다. 이번에는 쉘코드를 환경변수에 등록하고 주소를 알아내겠습니..
Pwnable/Hackerschool
2018. 10. 5. 00:55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hackerschool
- xcz.kr
- unity2d
- c++
- Android
- Level 05
- 풀이
- Level 04
- Level 03
- 안드로이드 멘토링
- 안드로이드
- Reversing
- 17th HackingCamp CTF
- Unity
- pwnable
- Level 06
- Programming
- Basic RCE
- 멘토링
- reversing.kr
- ftz
- Advance RCE
- Write-up
- Level 02
- wargame
- 유니티
- CodeEngn
- Level 01
- HackingCamp
- C#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